역사문화 관련 남북학술교류협력이 가능해 진 것은 1990년 8월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면서 부터이다. 그리고 2000년 ‘6·15남북공동선언’에서 남북의 교류협력분야에 ‘문화’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2007년 ‘10·4선언’에서 ‘역사’를 독립된 분야로 분류함으로서 고구려 역사문화 관련 남북 공동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
남북학술교류는 2000년 ‘6·15남북공동선언’을 기점으로 이전의 해외에서 간접적으로 접촉한 단계와 이후 화해협력 무드를 타고 남북이 주도적으로 직접 교류하는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 관련하여 1990년대까지 4건 정도의 간접 접촉이 성사된 반면 2000년 이후에는 학술회의가 7건, 전시회 7건, 발굴조사 및 보호 사업 4건, 방송 교류 2건 등 총 20건 정도로 급증하였다. 이러한 성과는 고구려 고분벽화가 학술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이 고구려를 통해 공동의 역사 인식을 갖게 하는 중요한 소재라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하지만 고구려 고분벽화는 점차 망실되어 가고 연구는 급속하게 위축되고 있다. 남북 당국은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비상한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사업의 재정적 지원은 물론 정치 환경에도 흔들리지 않고 지속적인 연구와 보호 대책을 수립해 나갈 수 있는 ‘남북공동 고구려 고분벽화 보존연구 센타(가칭)’같은 기관의 설립이 절실하다. 한시바삐 고구려 고분벽화를 민족의 자랑스러운 공동 유산으로 길이 보전할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It was not until the proclamation of th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ct” (August, 1990) that academic exchanges and cooperation on history and culture became conceivabl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In due course, the South-North Joint Declaration ( June 15, 2000), on which the cultural field is specified among those of cooperation and exchanges, and the 2007 South-North Summit Declaration (October 4, 2007), which identifies history as a distinct area for further cooperation and exchanges, have made it possible to set up a joint project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ancient kingdom Koguryo.
The June 15th Declaration marked a watershed in the history of the academic exchange between two Koreas: the previous method of dialogue—mediated contacts in a third country—gave way to a new stage in which Koreans began to take the initiative in direct interchanges in line with a growing mood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In the 1990s no more than four contacts—and even not unmediated ones at that— took place, the frequency of which has increased up to twenty times since the year 2000 (seven academic conferences, seven exhibitions, four projects of excavation and preservation, and two broadcast cooperation). These developments include studies on wall paintings in the ancient tombs from the Koguryo Kingdom, leading to awareness not only that the murals hold a significant value as academic materials but also that Korean people could share a common historical foothold through the past.
Unfortunately, however, the Koguryo murals have perished gradually, and studies shrunk rapidly. The late conditions request an immediate recognition and actions for both governmental authorities. It is deeply necessary to establish an independent institution tentatively, a South-North Joint Preservation and Research Center for Koguryo Tomb Murals) that will secure consistent researches and preventive measures regardless of the ever-changing political climate. Looking into how to conserve the murals as shared cultural heritages and to make detailed plans is now of great urgency.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