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조총련 교과서의 남북한 묘사 분석

Portrayal of two Koreas in Chongryon Korean language textbooks

상세내역
저자 이동배
소속 및 직함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발행기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학술지 한국문학이론과비평
권호사항 22(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pp.53-77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정치 이데올로기   #조총련   #한국어 교과서   #비판적 담론 분석   #정체성   #남북한   #이동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비평적 담론 분석과 이미지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현재 조총련 국어 교과서에서 어떻게 남북한을 묘사하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를 보면 조총련 교과서에서는 남한에 비해 북한을 질적 양적으로 많이 치우쳐 묘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북한의 정치 이념이 많이 소개 되고 있는데 즉 김일성의 탁월성, 위대한 항일 투쟁과 그의 출생지인 만경대를 방문할 것을 아동들에게 제시하고 있다. 반면에 남한은 아주 적게 두 번 묘사되며 그 묘사 가운데서도 북한 정권의 우수성이나 조총련이 민단보다 탁월함을 강조하고 있다. 북한은 항상 그들의 조국으로 묘사하고 북한을 위해 자원 봉사 하는 것이 영원히 기억에 남을 가치 있는 애국적인 행동이라고 묘사한다. 그러나 남한은 한반도 전체를 묘사할 때 삽입되는 수준이었다. 조총련 교과서에서 남한은 조상들의 고향으로서의 그들이 북한의 공민이라는 확실한 정체성을 가지고 방문해야 하는 곳으로 묘사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rtrayals of two Koreas in Chongryon Korean language textbooks us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visual image analysis. The findings show that the textbooks portray North Korea (its political ideologies such as the pre-eminence of Kim Il Sung and his glorious anti-Japanese guerrilla activities, need to visit his birth place) predominantly in quantity and in quality in the texts and images, showing their strong attachment to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 is depicted twice and its role was minimal and its foucs was on the glorification of North Korean regime and the superiority of Chongryon organisation over Mindan. North Korea is always described as their nation, Joguk, with South Korea sometimes being included in the term only where the whole Korean peninsula is depicted. Chongryon only projects South Korea as the place of hometown, so they can visit with North Korean identity, no need to affiliate themselves to it. Doing volunteer work for North Korea is considered patriotic and greatly rewarding.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