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미국 유권자의 대북 위협인식과 투표행위 분석: 2018년 중간선거 설문 데이터를 중심으로

American Voters' Perceptions of the Threat of North Korea and their Voting Behavior: Analysis of 2018 Midterm Election Survey Data

상세내역
저자 김한나, 정구연
소속 및 직함 University of Minnesota;Twin Cities
발행기관 한국의정연구회
학술지 의정논총
권호사항 15(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31-260
발행 시기 2020년
키워드 #대북 위협인식   #미국 중간선거   #도널드 트럼프   #이슈소유권   #일관투표   #김한나   #정구연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 유권자들의 대북 위협인식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호감도 및 중간선거 투표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1차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 핵위협이 사라졌다며 자신의 협상 능력을 과시하였고;이를 통해유권자들의 지지를 이끌어내려 하였다. 본 연구는 1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2018년 미국 중간선거 직전 실시된 설문조사를 통해 미 유권자들의 대북 위협인식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호감도와 투표행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우선 북한 문제 관심도와 북한에 대해 느끼는 위협도가 높을수록 미 유권자들의 2018 년 중간선거 투표 참여 의향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미 유권자가 북한 문제 관심도가 높고 북한에 대해 느끼는 위협도가 낮을수록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호감도가 높았다. 셋째;북한에 대한 위협을 적게 느끼는 유권자일수록 정파성과 상관없이 공화당 상원의원 후보에게 투표할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북한에 대한 위협을 많이 느낄수록 민주당 지지자들이 공화당 지지자 혹은 무당파와 비교했을 때 공화당 상원의원 후보에 투표할 의향이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비록 대통령 선거가 없는 중간선거일지라도 북한 위협인식이 선거 결과에 중요한 요인이며;그 효과는 지지 정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즉;외교정책 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원의원 선거가 시행되는 중간선거에서도 북한 문제가 유의미한 것이다. 요컨대 이러한 결과는 북한 문제가 미유권자들의 투표 의향과 후보자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슈임을 보여주며;차기 미행정부의 대북정책 수행 및 국정운영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