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Mandelbaum의 생애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2명의 교육대학교 탈북대학생을 대상으로;2019년 3월부터 8월까지 심층 면담을 통해 한국 사회와 대학 생활 적응을 분석한 연구로;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연구참여자들은 북한에서의 가정환경과 교육 배경;탈북 배경과 과정;국내 적응 과정에서 차이점은 있으나;한국 사회적응 과정에서는 탈북 이후 제2의 삶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계획;주변 환경으로부터 흔들리지 않으려는 자제력을 가지고 적응을 위한 적극적인 자세와 노력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건전한 사고가 한국 사회 적응과정에서 생기는 어려움을 잘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연구참여자들의 대학 생활은 초등교사가 되겠다는 목표의식을 가지고 적응에 노력하고 있으나;일반대학의 탈북대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언어표현과 한국 문화 적응;사회적 교류;남북한 교육과정 차이로 인한 기초 지식의 부재;영어와 발표학습에 대한 어려움 등에서 공통적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연구참여자들은 졸업 후 임용고시에 합격하면 초등교사되는데;초등교사는 전문성과 사명감;신뢰감이 요구되는 직업으로;자신들이 북한 출신이라는 신분 때문에 교사 임용 후 학교 당국과 학부모의 신뢰를 받는 것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였다. 그러나 북한과 달리 한국은 초등담임 교사가 순환제로 이루어지고;한국 사회는 다양성이 강조되고 있으므로 탈북교사는 북한;남한에서의 생활과 교육환경에 대한 동시 경험과 그 차이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교육 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고려되었으면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첫째;교육대학교의 탈북대학생 연구는 남북한 통합교육을 위한 연구와 연계되어 이루어졌으면 하고;둘째;다문화사회로 진입하는 한국 사회에서 다양성 함양을 위해 탈북교사의 역할이 주어질 수 있도록 각종 제도 지원체계의 구축방안이 검토되었으면 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