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의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 분석

An Analysis of North Korea’s Revised and Completed Outline for the Elementary 4th Grade English Textbook

상세내역
저자 이소영
소속 및 직함 인하대학교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권호사항 19(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983-1000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초등 영어교육   #북한의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용‘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   #이소영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에서 영어를 처음으로 배우는 소학교 4학년의 영어교육 양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의 초안인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을 분석하였다. 통일부의 북한자료센터에 입수된 DVD 자료 내의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을 2018년 5~9월에 전반적 구성 체제, 단원 구성 체제, 단원 학습 내용 측면에서 분석, 정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는 10개의 정규 단원, 5개의 복습 영역, 총복습 영역, 그리고 알파벳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단원과 영역별로 ‘수업’ 혹은 ‘련습’으로 지정되어 있다. 둘째, 정규 단원은 4차시 수업을 위한 8개의 하위 요소를 통해 점진적으로 학습자 참여를 늘려가고 있다. 셋째, 정규 단원은 학습자 및 학습자의 주변과 관련된 소재를 바탕으로 한 음성언어위주의 교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면, 알파벳 영역에서는 음성언어뿐만 아니라 문자언어도 다루고 있으며 어휘 학습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우리나라 초등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의 체제 및 내용과 비교해 보면 남북한 간의 격차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