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우리나라 수출통제 법제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Proposals for Korea’s Export Control System

상세내역
저자 강호
소속 및 직함 건국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무역학회
학술지 무역학회지
권호사항 43(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pp.75~100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수출통제   #상황허가   #물품등   #대외무역법령   #전략품목   #중개허가   #재수출통제   #강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국제수출통제규범을 고찰하고 국내 수출통제 법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수출통제제도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5년 이후 본격 시행된 국내 수출통제 제도는 법체계와 목적, 상황허가 요건, 수출통제 대상 ‘물품등’ 등의 용어에 대한 정의와 범위, 중개허가의 실효성 및 미국 재수출통제 대응 등의 측면에서 중대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그 발전방안으로 현행 대외무역법령에서 수출통제 부분을 분리하여 가칭 ‘수출통제법’으로 입법화, 수출통제 대상을 ‘전략품목’으로 통일, 상황허가 요건의 명료화, 중개허가 실효성 제고를 위한 등록제 도입 및 수출통제 관련 각종 용어에 대한 정비 등을 제안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international export control norms, analyze current national export control system and identify the problems thereof, presenting several proposals for development in the system. The Republic of Korea, as a signatory of non-proliferation treaties and multilateral export control regimes, is obligated to comply with the international non-proliferation and export control norms, irregardless of hard or soft laws. Korea’s export control system has been implemented in earnest since 2005; however, it contains serious problems in terms of the legal system and objectives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terms and definitions of the items subject to export controls, catch-all requirements, brokering license, response to the U.S. re-export controls, and so on.
Proposals for development in the system include (i) enacting an independent law integrating the current dual-use items export control law and regulations, (ii) making use of the term of “strategic items” as a uniform terminology replacing ‘goods etc.’, ‘strategic goods(inclusive of technology)’, ‘strategic goods, etc.’, ‘WMD, etc.’ so as to preclude any possibility of misunderstanding, (iii) rewriting the catch-all control requirements, (iv) introducing registration system of brokering firms, (v) including provisions to comply with U.S. reexport controls, and (vi) providing stakeholder with correct and full information on export control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비확산 수출통제 국제규범
Ⅲ. 우리나라 수출통제 법제도
Ⅳ. 우리나라 수출통제 법제의 문제점
Ⅴ. 우리나라 수출통제 법제의 발전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