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남북한통합, 중국, 일본의 고등학교 지리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교육과정을개발 배경, 내용, 방법, 평가 순으로 살펴보며 국가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 교육과 세계시민성 교육 그리고 지리과 핵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지리 교수학습의 내용 및 방법을 다음과 같이예시하였다. 학습 내용의 체계 및 조직은 1) GIS, GPS, RS를 활용한 지리 환경적 문제 해결, 2) 인간과 자연 간의 상호의존및 지속가능한 관계 설정, 방재 대책, 3) 장소에서의 생활 문화의 다양성을 인문 활동과 자연 환경 간의 관계를 통해 파악, 4) 생활권(하천 유역권)에 토대한 지역 지리, 5) 수자원과 해양 자원의 합리적 이용과 관리, 6) 생활공간으로서 촌락과 도시, 7) 인구와 생활환경 간의 관계, 8) 산업 활동과 이동, 9) 공간 규모 간 연결 및 상호의존 등으로구성한다. 교수 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수업자는 1) 지리정보 기술을 활용한 주제 탐구 및 문제 해결, 2) 학습자 생활권 조사에 토대한 지리적 과제 해결, 3) 계통적 주제 간 비교, 관련, 변화의 관점 적용, 4) 학습자의 사고 구조 파악 및 표현성 과제 제시, 5) 지리 교육의 5대 중심 개념에 따른 발문 전략 등을 고려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