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1958년 중국 ‘항미원조’ 전쟁 기억의 정치성과 문화적 재현의 다층성

The Political Nature and Multilayered Cultural Representations of the War to Resist America and Aid Korea in 1958

상세내역
저자 한담
소속 및 직함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
발행기관 중국문화연구학회
학술지 중국문화연구
권호사항 (4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67-284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1958년의 중국   #항미원조 회고   #문화적 재현   #관방서사와 대중서사   #기록영화와 극영화   #한담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958년, 북한 내 중국지원군의 전원 철수가 이뤄진 시점에 신중국 항미원조 문예 창작의 두 번째 절정기가 도래한다. 하지만 기억된 과거는 정당성의 확보 문제이자 현실의 해석이라는 알라이다 아스만의 주장처럼, 건국 초 중국 인민들에게 민족 자존감과 초보적 국제주의 경험을 남긴 항미원조는 1958년 변화된 국내외 정세에 따른 새로운 정치적 임무에 맞게 소환되고 재구성되었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논문은 1958년을 주요 기점으로 하여 중국에서 항미원조가 다시금 ‘왜’ 그리고 ‘어떻게’ 기억되었는가를 고찰하고 있다. 특히 필자는 1950년대 신중국 인민의 항미원조 기억이 겉으로는 단일해 보여도 그 내부는 균질하지 않은 다종의 서사들이 혼재되어 있음에 주목해 보았다. 이에 본 글은 전쟁 기억을 구성하는 주요 변인으로 1951년과 1958년 사이 항미원조 공적 서사의 통시적 변화와 동시기 관방서사 대중서사 간 서사 층위를 분석, 항미원조 기억을 다층적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두 기록영화 『항미원조』(1951년)와 『영웅찬가』(1958년)에서 나타나는 관방의 항미원조 서사 변화에 주목하여, 항미원조가 소환된 배경과 배후의 정치성을 살펴본다. 이것이 통시적 요인이라면, 두 번째로, 극영화 『우의』(1959년)를 분석하여 동시기 관방서사와 대중서사 간 전달 방식, 해석의 차이점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중국에서 상영된 북한 영화 『전우』와의 비교를 통해 문화적 기억의 다층성과 북·중 국제주의 상상의 균열을 들여다본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