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질적 접근을 통한 한반도 통일관광에 대한 인식 연구

The study of the perception about unified tourism of Korean peninsula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상세내역
저자 노희경
소속 및 직함 공주대학교 관광경영학과 박사수료
발행기관 한국호텔관광학회
학술지 호텔관광연구
권호사항 21(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70-82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통일관광   #통일관광인식   #질적연구   #노희경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한반도 통일관광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한반도 통일관광 정책의 방향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정책적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통일관광 인식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설문 문항을 통한 양적연구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민들의 한반도 통일관광에 대한 다양한 인식 측면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어 질적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 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통일관광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한반도 통일관광 정책의 방향성 설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Nvivo10을 사용하여 범주를 분류하였으며, 노드별 가중치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참가자들이 인식하는 한반도 통일관광 요인은 자원요인, 인프라요인, 문화요인, 여가요인, 안전성요인, 경제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국민들이 한반도 통일관광에 대해 경제적, 문화적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강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북한관광에 대한 논의 시 금강산, 개성에만 국한 될 것이 아니라 한반도 관광을 광범위하게 다루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북한의 인프라 구축에 있어 남한의 참여에 대한 기대감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북한이 법을 개정 하여 외국자본과 남한 자본을 차별하지 않도록 요구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문화갈등과 경제격차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안전성 문제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다. 경제 격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갈등에 대해 미리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사전에 자본주의에 대한 교육이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안전성 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해 신변 안전에 대한 남북 간의 합의와 제도적 장치가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통일 시대에 대비한 한반도 통일 관광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반영한 정책이 요구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