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만세전」 등의 염상섭 문학에 대한 북한에서의 변화된 시각을 참조점으로 남북한 문학사의 공통점과 차이를 명확히 함으로써 남북한 문학의 점이지대를 확장하기 위한 고찰에 해당한다. 특히 김정은 시대에 발간된 『조선근대소설사』(2013)를 중심으로 1980년대 중반 이래로 북한 문학사에서 재평가되는 염상섭과 「만세전」 등의 작품에 대한 인식의 변화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남북한 문학의 거리 좁히기를 시도해 보았다.
염상섭은 북한 문학사에서 1950년대부터 김동인, 현진건과 함께 1920년대 “자연주의 문학의 반동적 본질”을 드러낸 대표적 작가로 간략하게 언급된 이후 1980년대 중반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인 호명이 거의 부재했던 작가이다. ‘반동적 부르주아 문학’이자 ‘퇴폐적 자연주의 문학’의 부류로 언급되면서 텍스트와 작가에 대한 평가와 의미 부여가 미미했던 셈이다. 하지만 이광수에 대한 평가가 ‘민족 반역자로서의 이광수’에서 ‘부르주아 계몽 문학의 선구자로서의 춘원’으로 유연하게 인식 변화한 사실에서 드러나듯 ‘유산과 전통의 확보’라는 차원에서 염상섭과 그의 작품 역시 부분적으로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1990년대 이래로 북한 문학사에서 염상섭의 「만세전」에 대해 ‘일정한 사회현실의 반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진행하는 것은 고무적이다. 남북한의 문학사적 인식의 차이가 좁혀질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염상섭의 문학은 무엇보다도 당대 현실을 치밀하게 성찰한 가운데 형상화된 작품들이라는 점에서 소중하다. 첫 작품인 「표본실의 청개구리」(1921)에서 허무주의적이고 냉소적인 세계 인식을 보여주기 시작한 염상섭의 문학은 「만세전」에 이르러 암울한 조선 사회의 현실 인식을 거치며 더욱 단단해진다. 이후 해방 이후의 물질 만능의 세태를 풍자한 「두 파산」(1946) 이후에도 작가는 자잘한 일상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현실 세계와 대결하면서, 주체의 내면을 향한 통찰과 더불어 현실 세계와 맞서려는 주체의 의지를 표출하고자 노력해온 대표적인 리얼리스트이다. 염상섭의 문학은 냉소적 세계인식과 자기 부정을 통해 리얼리즘의 외연을 확장해온 대표적인 자산에 해당한다. 염상섭의 문학에 대한 남북한 문학사의 인식의 간극이 좁혀지고 있다는 사실은 남북한 문학의 점이지대가 확장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현상이다.
This paper is a review to expand the area of inter-Korean literature by clarifying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etween the two Koreas as a reference to the changed perspective of Yeom Sang-seop’s literature, such as “Mansaejeon”.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try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focusing on the changes in perceptions of works such as Yeom Sang-seop and Mansejeon, which have been reevaluated in North Korean literature since the mid-1980s.
Yeom Sang-seop was briefly mentioned as a representative writer who preached the reactionary essence of naturalistic literature along with Kim Dong-in and Hyun Jin-gun in the 1950s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was almost absent until the mid-1980s. As it was mentioned as a class of “reactive bourgeois literature” and “decadent naturalist literature,” the evaluation and meaning of text and writers were insignificant. However, attention is paid to the fact that Yeom Sang-seop and his work are also partially being highlighted in terms of securing tradition and heritage, as revealed in the flexible change in perception from Lee Kwang-soo as a national traitor to Chunwon as a pioneer in Burgean enlightenment literature.
Since the 1990s, it is encouraging to conduct a positive evaluation of Yeom Sang-seop’s Mansejeon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as a “reflection of certain social realities.” This is becaus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difference in literary and historical perceptions between the two Koreas will narrow. Yeom Sang-seop’s literature is, above all, valuable in that it is embodied works while carefully reflecting on the reality of the time. Yeom Sang-seop has been a representative realist who has tried to express the subject’s will to confront the real world as well as insight into the subject’s inner world. Yeom Sang-seop’s literature is a representative asset that has expanded the extension of realism through cynical world perception and self-denial. The fact that the gap in Yeom Sang-seop’s perception of literature between the two Koreas is narrowing is an encouraging phenomenon in that the area of literature between the two Koreas can be expanded.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