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김정은 체제 이후 북한의 「교육신문」에 드러난 북한 교육의 통합 기제로서의 특징을 다룬다. 파슨스와 이스튼의 통합 이론을 기초로 북한 헌법, 교육법, 「교육신문」 등 일차자료를 분석했다. 북한은 대내외적 변동 속에서 새로운 집합의식과 규범, 정치·문화적 상징과 담론, 대중 매체와 행정 조직을 통해 통합을 시도해 왔다. 북한은 통합, 규제, 상징 측면의 체계 역량이 높으며, 교육을 통한 문화적 유형 유지, 집합적 가치 공유와 지도자 관련 우상화 학습을 강조해 왔다. 김정은 시대 이후 북한 교육은 다양한 교육 개혁 시도 속에서도 ‘5대 교양’ 등 사상교양 내용의 체계화·유목화가 강화되고 있으며, 실용주의 교육의 강화와 방법론적 다양화가 시도되고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