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 영어교과서의 통치 권력별 통시적 분석

A diachronic analysis of the English textbooks along the North Korean ruling authorities

상세내역
저자 홍정실, 김정렬
소속 및 직함 한국교원대학교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권호사항 19(6)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99-619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북한 통치자   #북한 영어 교육   #북한 영어교과서   #통시적 분석   #홍정실   #김정렬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의 영어 교육의 흐름을 이해하고자 북한의 영어교과서를 통시적으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시대를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로 나누고 같은 학교 급, 같은 학년의 영어교과서를 선택하여 외형의 변화, 서문의 변화, 구성체계의 변화, 내용의 변화 4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으며 김정은 집권기의 영어교과서를 분석한 선행 연구를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김정일 집권기부터 영어교과서 표지에 주체연도를 표시함으로써 김일성 우상화가 나타났다. 둘째, 김정일 집권기부터 서문에 머리말이 등장하였는데 머리말을 통해 북한의 영어교과서가 김정일을 찬양하는 지문과 문법, 독해력을 중시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김정은 집권기에는 머리말의 내용이 변화하여 북한의 영어교과서에 언어의 4기능이 종합적으로 포함되고 과학기술 등과 통합된 다양한 지문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셋째, 김일성과 김정일 집권기 영어교과서의 구성체계는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 기초하여 구성되었다. 두 교과서의 차이점은 Dialogue부분이 김일성 집권기에는 독립적인 문장을 반복해서 말하는 연습이었지만 김정일 집권기에는 두 사람간의 대화 형식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김정은 집권기에는 언어의 4기능이 모두 명시적으로 교과서에 나타나고 그에 따른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졌다. 넷째, 교과서의 내용은 김일성, 김정일 집권기의 영어교과서 모두 우상화 및 애국심 고취, 미 제국주의 비판, 과학기술과 관련된 내용 등으로 이루어졌으나 김정은 집권기에는 세습체제 유지 내용에서 벗어나 일상생활과 과학, 컴퓨터 등 더 폭넓은 주제의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