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동질성과 이질성의 길항과 통일 문학교육의 도정 -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본 통일 문학교육의 방향과 과제 -

The Antagonism of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and the Course of Reunification Literature Education - The Direction and the Task of Reunification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Curriculums and Textbooks -

상세내역
저자 최홍원
소속 및 직함 상명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문학교육학회
학술지 문학교육학
권호사항 (6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1-87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통일 문학교육   #교육과정   #교과서   #북한 『국어문학』 교과서   #변혁적 접근법   #최홍원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통일을 대비한 문학교육 논의의 일환에서 기획된 것으로, 남북한 문학교육의 이질성에 주목하여 통일 문학교육의 기획과 설계를 위한 시각과 관점을 탐색하는 데 주된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최근 개정된 북한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북한 문학교육의 실태와 현황을 진단함으로써 통일 문학교육에 대한 접근 시각을 점검하고 새로운 관점으로의 전환을 꾀하고자 하였다. 먼저 북한의 문학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세 특질을 도출하였다. 1. 목적과 목표의 측면: 여전한 정치적 예속과 문학의 본질로의 맹아 2. 영역과 구성의 측면: 문학 영역의 배제와 문학 중심의 통합적 구성 3. 교과서 개발과 교수⋅학습의 측면: 중앙 통제와 정치사상으로의 경도 다음으로 북한의 『국어문학』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와 학습활동의 측면에서 현대문학, 고전문학과 세계문학 교육이 동질성과 이질성을 동시에 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남북한 문학교육간의 공통된 요소 못지않게 상당한 차이와 간극을 확인하였다면, 기존의 민족주의에서 상호문화주의로 교육적 시각을 전환할 것이 요청된다. 이러한 전환을 바탕으로 민족적 동질성과 문화적 이질성의 실체를 동시에 인정하고 이들의 길항 속에서 새로운 통일 문학교육의 개발이 필요하며, 변혁적 접근법은 이러한 설계와 개발의 구체적인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