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백두’ 구호를 통한 김정은정권의 정치사회화 전략 분석: 백두의 혁명정신, 백두의 칼바람정신, 백두산영웅청년정신을 중심으로

Political Socialization Stretagy of the Kim Jong-Un Goverment: An analysis of the Revolutionary Spirit of Baekdu, the Spirit of the Blizzards of Baekdu, the Spirit of the Baekdu Youth Hero

상세내역
저자 임수진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인문학연구원
학술지 통일인문학
권호사항 77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97-232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백두의 혁명정신   #백두의 칼바람정신   #백두산영웅청년정신   #정치사회화   #백두 담론   #김정은정권   #임수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김정은정권은 정권 수립 이후 북한사회를 대상으로 새로운 구호와 담론들을 연이어 발표하였다. 그 중에서 주목하여 볼 수 있는 것이 ‘백두’와 관련한구호들인데, 2014년 ‘백두의 혁명정신, 백두의 칼바람정신’이 발표된 데 이어, 2016년 ‘백두산영웅청년정신’이 또 한번 소개되었다. 본 연구는 김정은정권의 ‘백두’ 구호의 부상에 집중하여, ‘백두’ 구호와 그와 관련한 담론들을역사적으로 살펴 김정은정권 이전과 이후의 ‘백두’ 담론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김정은정권의 정치사회화 전략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김일성·김정일정권에서 ‘백두’의 개념은 김일성, 김정일 최고지도자 개인에 상응하는 개념으로, ‘수령’을 모체로 사회를 구성하고 사회력을 동원하는담론의 기제로 사용되었다. 반면, 김정은정권의 ‘백두’의 개념은 보다 확대되어 사회구성의 모체를 ‘영웅집단’을 중심으로 전개하며 보다 확장된 양상을보였다. ‘백두의 정신’ 역시 ‘최고지도자가 창시’한 것으로부터, ‘영웅집단이보유’한 것으로 확대되었다. 김정은정권의 ‘백두’ 관련 구호와 담론은 보다대중 중심적으로 전환되어 구체적 실천양식을 구성하고 독려하는 측면으로확장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김정은정권이 ‘백두’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사회담론을 통해 보다 대중화된 연대와 결속의 새로운 공동체성을 확보하고자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