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통일교육의 평화윤리적 접근과 교육 원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ace Ethics Approach and Teaching-Learning Principles in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상세내역
저자 유병열
소속 및 직함 서울교육대학교
발행기관 초등교육연구원
학술지 한국초등교육
권호사항 30(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7-73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평화윤리   #평화통일   #통일교육   #평화윤리의 6덕   #통일교육의 덕교육적 원리   #유병열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오늘날 한반도에서의 남북 관계와 통일 환경은 급격한 변화의 과정을 지나가고 있다. 그리고 그 변화 의 주요 특징들은 대체로 남북한 사이의 긴장 완화와 평화, 교류ㆍ협력 및 통일을 향한 노력 등으로 나 타나고 있다. 이 연구는 바로 이러한 격변의 시기에 우리의 학교 통일교육이 무엇을 어떻게 추구해 가 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하나의 시론적 대답을 찾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 는 이제부터 우리의 학교 통일교육은 종래의 사회과학적ㆍ정치학적 접근 및 인문학적 접근에 더하여 윤 리학적 접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 평화윤리적 접근에 터하여 추구될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서 출발하 였다. 그리하여 먼저, 그러한 노력이 왜 필요한지와 관련하여 이론적 측면에서 평화에 담겨 있는 원초 적인 윤리적 의미, 속성을 분석해 내는 한편, 실제적 측면에서 남과 북이 진정으로 사람의 통일, 마음의 통일을 이루기 위해 그 같은 접근이 절실함을 지적하였다. 이어서, 통일교육의 평화윤리적 접근의 구체 적 내용으로서 평화윤리 6덕을 제시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지혜, 존중, 배려, 정의, 책임, 그리고 협동이 그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덕들이 왜 중요한지 그 근거와 함께 자라나는 세대들 속에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 요소들이 길러져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덕들을 기르기 위한 교육적 원 리로서 덕ㆍ인격을 구성하는 이성과 정념 및 행동 측면의 제요소를 통합적으로 추구하는 교육 원리 및 적절한 지도 방법들의 적용을 예시,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우리가 지향하는 ‘새로운 조국’으로서 의 통일국가는 구성원들의 도덕적 자기 완성을 통한 진정한 행복 실현을 그 존재의 본질 및 목적으로 하는 그러한 국가관에 의거해야 하며, 이런 점에서 향후 우리의 통일교육은 평화윤리 중심의 도덕ㆍ인 성교육적 접근을 그 중요한 굴대의 하나로 하여 추구해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