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 초급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북한 문학교육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North Korean Elementary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상세내역
저자 박기범
소속 및 직함 전주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학술지 한국문학논총
권호사항 (8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5-89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북한의 교육과정   #초급중학교   #북한 국어 교과서   #문학교육   #김정은 시대   #통일 대비   #박기범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은 현행 북한의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알아보고, 그에 따른 초급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구성 및 체제, 단원별 내용의 대강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문학 제재를 다룬 단원을 중심으로 학습 목표 및 내용과 방법에서의 특징을 자세히 분석한 것이다. 현행 북한의 2013 개정 교육과정은 김정은 시대를 맞이하여 큰 변화를 꾀하였으며, 교수․학습 방향과 방법, 평가 방향 및 방법, 내용, 그리고 교과서 집필 원칙에 이르기까지 매우 포괄적이며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 개발 보급된 북한의 초급중학교 국어 교과서 역시 이전보다 학생 참여를 확대하고, 언어 수행 능력을 기르는 방향으로 변하였다. 특히 문학 제재가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외국 작가의 작품이 의외로 많이 수록되었다. 또한 어휘와 교과 개념과 원리 등의 지식의 습득과 함께 이를 적용 심화하는 학습도 하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었다. 문학 영역의 경우, 조국과 공동체에 대한 충성과 노동의식 고취라는 사상교육을 최우선의 교육 목적으로 삼고 있고 3대의 걸친 김 씨 일가의 업적과 풍보에 대한 찬양의 내용이 많은 점은 과거부터 계승해 온 특징인 반면, 새 교과서에서는 그와 같은 이념적인 내용이 다소 축소되었고, 문학의 기초 개념과 원리를 익히도록 지식을 중시하였으며, 문학 영역을 다른 언어 사용 영역의 국어활동과 통합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발표와 창작, 낭송과 연행을 강조하며 기본적인 작품 수용 활동을 반복적으로 하도록 하며, 그 바탕 위에서 심화된 학습 활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밖에도 아동 문학 작품도 많이 활용하는 점이 특이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