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0월 일본 총선거에서 압승한 아베 총리는 학원스캔들 문제를 무난히 넘겼고 2018년 9월의 자민당 총재선거에서 승리하였다. 이어서 2020년 동경올림픽을 거치면서 역대 최장수 총리가 될 가능성이 있어 아베정권 장기화가 예상된다. 그런데 이런 아베정권의 우익 민족주의 성향은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로 인해 긴장이 조성된 한반도 주변관계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특히 미중 패권구도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한반도 특히 북한에서 불미스런 사태가 벌어질 경우, 미국과 중국의 세력이 격돌할 것이고 일본은 부상하는 중국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미일동맹을 근거로 강력히 미국을 지원하면서 자국의 안보를 우선시 할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사태가 악화될 경우 중국군은 북한 진출과 함께 연이어 동해출구(東海出口) 개척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 북한 급변사태 관련 일본 내 논의 기조는 지금까지 주로 해상 탈북자 문제 등 일본의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목표를 둔 ‘소극적 대응’ 위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미일방위협력지침 개정(2015)과 북한 핵·미사일의 위협이 현실화하면서 일본 내 논의는 점차 공세적이며 적극적인 개입 필요성을 역설하는 분위기로 일변하고 있다. 북한에서 급변사태 등이 발생할 경우, 일본은 어떤 태도를 취할까에 대해서 검토해 보는 것은 통일한국을 구상하면서 다각도로 한반도 미래 외교를 설계해야 하는 한국의 입장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본의 과거 군사전략, 강화된 미일동맹 신가이드라인의 미일 군사 협력체제 그리고 일본 우익 민족주의들의 성향 등을 근거로 하여 일본 자위대의 한반도 개입명분과 예상되는 개입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주요 접근방법으로는 공격적 현실주의 이론을 적용시켜 본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