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이탈여성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ress on life satisfaction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상세내역
저자 박현숙
소속 및 직함 세한대학교
발행기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학술지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권호사항 9(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79-687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북한이탈여성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생활만족도   #매개효과   #박현숙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의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의 30세 이상의 북한이탈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결측치를 제외한 32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북한이탈여성의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정적(+)으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북한이탈여성은 심리적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심리적 스트레스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라는 보호요인은 심리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변수로 신체적, 사회적 스트레스보다도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는 북한이탈여성들이 심리적으로 많은 압박과 부담을 받고 있다는 것을 대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생활만족도에서는 자율성과 자아감 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북한이탈여성이 한국사회에 잘 적응하려면 다양한 영역에서 스트레스를 받지만 사회적 지지가 보호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한국사회의 적응이나 삶의 질적 만족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심리적 스트레스는 바로 본인의 존재의미라고도 할 수 있는 자율성이나 자아감에 대한 만족도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북한이탈여성의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