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의 프랑스 문학 번역본의 곁텍스트 분석

Analyse des paratextes dans les versions traduites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en Corée du Nord.

상세내역
저자 박선희
소속 및 직함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학술지 프랑스어문교육
권호사항 (6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95-124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곁텍스트   #주변텍스트   #북한의 서양문학 수용   #북한의 프랑스 문학 번역   #북한의 세계문학전집   #박선희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제라르 주네트가 제안한 곁텍스트 개념을 북한에서 출판된 프랑스 문학 번역본에 적용하여, 그 곁텍스트의 구성과 특성을 검토하였다. 주네트는 곁텍스트의 공간적 특성을 기준으로 도서의 한 판본 내에서 본문, 즉 텍스트를 둘러싼 채로 그 텍스트에 대해서 말하는 곁텍스트를 주변텍스트로 구분하였고, 텍스트와 떨어진 채로 같은 행위를 하는 곁텍스트를 바깥텍스트로 구분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될 번역본의 곁텍스트는 구체적으로는 번역본의 주변텍스트들이며, 북한 번역본을 구성하는 각 주변텍스트들을 정의하고, 그 세부 내역을 통시적 관점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며, 우선 북한의 주체사상 확립 이전과 이후에 출판된 북한의 외국문학 이론서를 통해 북한이 수용한 프랑스 작가와 작품들을 조사하여, 그 수용 배경을 간략히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남한에서 소장 중인 북한의 프랑스 문학 번역서를 목록화하고, 북한의 세계문학전집에 관한 정보를 남한에 최초로 제공하였던 오오무라 마쓰오의 목록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1960년대와 1990년대 이후에 출판된 북한의 프랑스문학 번역본 내의 주변텍스트를 편집 순서에 따라 세부적으로 구분한 후, 번역 출발지의 역사적, 그리고 사회적 환경에 따라 형성된 북한 번역본의 곁텍스트 구성과 그 내용들을 검토하고, 번역본의 서문에 드러난 북한의 프랑스 문학 번역 목적과 의도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북한 번역본의 곁텍스트에서 발견되는 통시적인 변화를 번역 출발지의 사회적 상황 변이와 연결하여 검토하는 번역사회학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