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냉전의 진열과 쇼핑: DMZ 전망대를 통해 살펴본 냉전경관의 구성

Displaying and Shopping the Landscape of the Cold War: The Construction of the Cold War Landscape in the DMZ Observatories

상세내역
저자 지상현, 이진수, 조현진, 류제원, 장한별
소속 및 직함 경희대학교, 아이다호대학교,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발행기관 대한지리학회
학술지 대한지리학회지
권호사항 53(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pp.605~623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DMZ(비무장지대)   #전망대   #냉전경관   #시각   #실천   #수행   #지상현,이진수   #조현진   #류제원   #장한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국가에 의해 조성된 경관은 국가의 이데올로기를 나타내는 표상이 된다. 본 논문은 한국전쟁 이후 한반도에 조성된 냉전경관을 이해하기 위해, DMZ 전망대를 사례로 하여, 전망대 공간 구성의 특징과 함께 운영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간 통제의 방식을 살펴보았다. 전망대의 경관은 국가 이데올로기가 방문객에게 전달되는 과정 속에서 형성되고 있었다. 전망대는 주로 시각을 통해 보여주어야 할 경관을 선택적으로 ‘진열’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방문객의 조망, 즉 경관 소비의 행동은 다분히 수동적이다. 그러나 전망대 경관의 소비는 단순히 전망대의 시각적 조망에 그치지 않는다. 방문객들은 일련의 출입절차를 거치며 전망대에 도착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의 수행과 실천을 통해 한반도의 냉전상황을 체화한다. 전망대 관람 전후의 이동과정, 전망대에서의 경관 ‘쇼핑’의 과정에서 방문객들은 보다 적극적인 실천과 수행을 통해 경관을 받아들이며, 이는 동시에 경관의 일부가 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진행되어온 재현과 비재현의 문화지리학 논의에 기반하여, 한반도의 냉전경관에 접근하는 방식을 전망대 관광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한반도의 냉전경관이 기존의 경관이해의 중심이 되어온 시각적 요소와 동시에 주체의 수행과 실천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Landscapes created by the State represent the ideology of the Stat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ld War landscape in the Korean Peninsular since the Korean War, this paper examines the way of controlling choreography of visitor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MZ observatories. The landscape of observatories have been (re)created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national ideology to visitors. The Landscape from the observatory is selectively chosen and ‘displayed’, which makes visitors’ landscape consumption activity very passive one. However, visitors’ consumption of the landscape is not only limited to what the observatories provide. Visitors have to go through a series of security check to reach the observatories where they experience and internalize the reality of the Cold War in the Korean Peninsula by bodily practices and performances. Through the travel before/after visiting the observatories and landscape ‘shopping’, visitors experience landscape by more active practice and performance, which becomes the part of landscape. By relying on the previous discussions on representational and non-representational cultural geograph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landscape of DMZ observatories and further the Cold War landscape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practices and performances of subjects have to be included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ld War landscape as well as the visual elements that has occupied the center of landscape studies.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냉전경관의 이해
3. DMZ와 전망대
4. DMZ전망대의 경관 진열과 쇼핑
5. 연구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