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김정은 시대 직업인으로서의 역할 기대: 북한의 소학교 1학년 국어,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ectation of a Role as a Professional in the Kim Jong Un Era :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n North Korean

상세내역
저자 엄현숙
소속 및 직함 북한대학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동북아학회
학술지 한국동북아논총
권호사항 24(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95-116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김정은 시대   #북한 소학교 국어 교과서   #북한 소학교 도덕 교과서   #사회적 역할   #역할이론   #엄현숙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김정은 시대 제시된 직업인으로서의 역할은 무엇이며 교육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김정은 시대 직업인으로서의 역할은 결사관철의 투사, 생산과 관리의 주인, 기술혁신의 담당자, 인기 상품의 개발자, 세계적인 선구자의 다섯 가지이다. 연구에서는 소학교 1학년 국어와 도덕 교과서 분석을 통해 위에서 언급된다섯 가지 역할의 반영 정도를 살펴볼 수 있었다. 분석의 대상이 된 소학교 1학년 교과서는 학생들의 일상에서 관찰 가능한 구체적인 대상을 소재로 삼고 있다. 교과서에는 첫째로, 투사로서 군인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학생들이 성장하면 자연스럽게 군인이 되도록 교양하고 있다. 둘째로, 교과서에서 ‘우리들의 아버지’는 세계가 우러러보는 강성 조선의 발전을 담당한 선구자들로 그려졌다. 셋째로, 교과서는 사회적 영향력을 지닌 인물과 선물 및 가보로 표현된 상징을 통해 학생들에게 국가와 수령에 대한 헌신과 자발적 마음을 갖도록 교양한다. 교과서에서 ‘행복한’ 또는 ‘훌륭하다’로 설명되는 사건 및 행위들은 자발적인 마음작용의 하나로써 설명되었다. 이로서 교과서에서 제시된 역할은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지배 이데올로기에 인민을 동원하고, 조직하고, 거듭나게 하는 기제로 그려졌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