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사회주의체제 건설과정에서 1946년 토지개혁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토지개혁을 시작으로 8시간 노동제와 남녀평등법 등 이른바 민주개혁을 시행했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주의체제를 건설할 수 있었다. 그래서북한은 1946년 토지개혁을 철저하고 완전하면서 신속하게 시행된 모범사례로 선전해왔다. 하지만 실제로는 몰수대상이 아닌데도 몰수를 한 경우, 토지를 분배받을 자격이 없는 사람이 분배를 받은 경우, 실제 권리보다 많은 토지를 분배받은 경우 등 다양한 부정사례가 발견된다. 이와 같은 여러 형태의 토지개혁 부정사례는 23일이라는 짧은 기간에 속전속결로 토지개혁이 종결된 점, 자작과소작이 얽힌 복잡한 토지소유관계, 자격 없는 자를 위원으로 선출하는 등의 농촌위원회 구성상의 허점, 정실이 작용하는 등 농촌위원회 운영상의 문제점, 북한당국의 행정능력의 한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했다. 북한당국이부정사례를 시정해나갔고, 대다수의 농민들은 무상몰수 무상분배 기반의 토지개혁에 의해 혜택을 입었으며, 당시북한사회가 민주개혁이라는 큰 물결에 동조하는 분위기이었기 때문에 토지개혁 부정이 크게 표면화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당시 북한사회의 최대 이슈 토지개혁의 실제 모습을 확인하고 그 원인을 찾는 것은 해방직후 의 북한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주는 작업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