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자본이 공적 지원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Social Capital and Public Support Institu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Gwangju

상세내역
저자 이소영
소속 및 직함 선문대학교
발행기관 아시아여성연구원
학술지 다문화사회연구
권호사항 12(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53-285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사회적 자본   #공적 지원제도   #신뢰   #네트워크   #이소영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공적 지원제도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자본(신뢰, 규범, 네트워크, 호혜성, 참여)과 공적 지원제도(북한이탈주민 법률, 하나원, 남북하나재단, 취업지원센터, 지방자체단체지원조례)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년 2월부터 4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체 121부의 표본을 활용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자본 중 호혜성이 가장 높았고 참여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공적 지원제도 중 하나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으며, 취업지원센터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둘째, 종교 활동을 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신뢰, 네트워크, 참여가 높았다. 또한 북한이탈여성이 남성보다 호혜성과 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자본 중 신뢰가 공적 지원제도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