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 무역 투자를 위한 관광기업의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urism business strategies for North Korea trade investment

상세내역
저자 김경배, 강신영
소속 및 직함 광운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무역전시학회
학술지 무역전시연구
권호사항 14(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87-108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투자결정요인   #남북관광투자   #투자방식   #접근방식   #남북교류협력사업   #김경배   #강신영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관광의 성공적인 투자협력을 위하여 관광기업들의 대북투자에 대한 인식과 관광기업의 선호 진출 방식, 투자 방식 그리고, 한국관광기업의 대북협력사업 투자 결정요인을 탐색하고 체계화하는데 있다. 본 연구 결과 투자결정요인과 대북 투자방식에서 투자용이성 요인은 합작투자와 단독투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제적 환경성 요인에서는 합작투자가 합영투자 그리고, 단독투자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대북 투자결정요인과 사업체 유형별에서는 투자 용이성 요인은 숙박업이 여행업과 관광개발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투자환경성 요인은 여행업이 숙박업과 관광개발업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시장성 요인은 숙박업이 여행업과 관광개발업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대북 투자접근방식과 사업체 유형과의 관계에서는 투자방식에서는 합영투자에서 숙박업과 관광 개발업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합작투자에서는 숙박업이 여행업과 관광 개발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사업체의 유형에 따라서는 관광기업의 대북투자 필요성에 대해서는 여행업, 숙박업, 관광개발업이 모두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으나, 응답 기업의 대북 투자 필요성에 대해서는 여행업과 숙박업이 관광 개발업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응답한 기업의 대북투자 가능성에 대해서는 관광개발업이 가장 높았으며, 숙박업, 여행업의 순으로 가능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아직 일반화되어 있지 않은 초보적인 단계인 남북교류협력사업 중 한국관광기업의 대북 투자에 대해 처방적인 성격을 가진 연구이기보다는 설명요인 탐색이라는 차원에서 관광기업의 대북투자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여 가장 기본적인 분석단위인 대북 관광투자결정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으나 향후 새로운 연구분야로서 다각적인 연구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