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출생 자녀를 지도한 담임교사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그들의 학교생활을 탐색하고, 교육 지원을 위한 개선방향을 고찰하는데 있다. 현재의 교육부 탈북학생 지원 정책은 북한이나 제3국 출생 탈북학생들만 탈북학생의 범주에 포함하기 때문에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출생 자녀는 교육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에 따라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출생 자녀들은 교육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되고, 다양한 부적응 문제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이들의 학교생활에 관한 심층 탐구를 위해 이들을 지도했던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담임교사 4인을 심층면담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질적 자료분석법인 매트릭스 분석법을 활용하여 공간과 대상에 따른 범주화 및 주제 분석, 코딩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출생 자녀들은 학교생활에서 탈북학생들과 유사한 문제가 발견되었으며, 가정생활에서도 북한 출신 부 또는 모의 영향으로 인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출생’ 이라는 이유로 교육 지원 혜택에서 제외되고 있다. 현장 교사들은 이러한 제도적인 단점에 대해 언급하며, 이들에게도 적절한 교육 지원이 제공될 수 있도록 탈북학생 교육 지원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이들 학부모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도 언급하며, 학부모 교육을 통한 학부모의 적응 지원은 자녀의 적응과 정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chool life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education support based on the experience of homeroom teachers who teach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Korea. The Ministry of Education only supports defector students from North Korea and other countries.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Korea are in the blind spot of educational welfare.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chool life of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ing 4 homeroom teachers who teach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Korea.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matrix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Korea have similar problems to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in the school. These students have not been properly educated at home due to the influence of parents from North Korea. Nevertheless, they do not receive educational support because they were born in Korea. The study participants pointed out these policy limitations and said education support was needed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Korea.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