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민의 양성평등 의식을 분석하여 탈북민 가정의 양상평등 문화 확산과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3국 출생 청소년을 포함한 탈북민 46명에 대한 면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의 성평등 실태와 남한에서의 탈북민의 양성평등 의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북한에서는 양성평등 관련 법제도가 마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탈북민들은 북한의 양성평등 실태나 북한주민의 성평등 의식 수준을 낮게 인식하고 있어, 제도와 현실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환경적 맥락에 의해 탈북민들의 양성평등 의식은 그다지 높지 않았다. 더욱이 탈북민들은 북한이나 제3국에서 학습되고 고착된 기존의 전통적인 가부장주의와 남한의 양성평등 지향적 문화 간 혼란 및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탈북민의 남한사회에서의 안정적인 정착과 적응을 위해서는 탈북민 가정의 양성평등 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탈북민의 심리적 안정과 한국사회 적응, 나아가 사회통합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 탈북민의 양성평등 의식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그리고 바람직한 성역할과 사회 및 가족 구성원들 간 관계 모델 제공을 위한 남한 가정과의 네트워크 형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among North Korean refugees and to explore the policy implications for reinforcing gender-equality culture in North Korean refugees. For this end,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6 North Korean refuge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rth Korean refugees perceived lower levels of gender equality in North Korea society.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clear gap between the gender-equality ideal portrayed in North Korean laws and its reality experienced by North Koreans. Second, the level of gender equality percept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was not high. Especially male refugees have more conservative perception and have experienced more difficulty in gender-equality culture. These findings show that educational programs need to be continuously provided for North Korean refugees. Findings also indicate that government need to provide models for gender roles and help them have networks with Korean families. Further policy implications for spreading of gender-equality culture in North Korean refugee families and social integration were discussed.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