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한국전쟁기 중국어로 번역된 김사량 작품 연구

A Study on Kim Sam-ryang's work translated into Chinese during the Korean War

상세내역
저자 주춘홍
소속 및 직함 숭실대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학술지 한국문학과 예술
권호사항 (30)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19-358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종군 문학   #번역 문학   #사실주의   #유격대   #애국심   #주춘홍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김사량은 「빛 속에」가 아쿠타가와상 후보에 오르면서 학계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고 수많은 문학작품을 창작하였다. 그의 작품들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특히 일본 문단에서 활발한 일본어 글쓰기를 한 그의 특이한 이력에 걸맞게 해방 이전 소설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이와 달리 해방 이후 김사량 문학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략한 편이다. 문학 연구의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작가의 작품 연보조차 제대로 작성되어 있지 않을 정도이다.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논의된 바 없는 자료인 「남조선인민유격대 수령 김달삼」, 「조선인민유격성지 - 지리산」, 그리고 「투쟁적 조선농촌」을 새롭게 발굴하였다. 본고에서는 세 작품을 학계에 처음 소개하는 단계인 만큼, 가능한 그 기본적인 내용을 충실하고 상세하게 분석하여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인 작업으로 북한 문학을 비롯한 외국문학이 중국에서 번역된 양상과 배경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이 종군문학 작품들은 유격대의 전투실화를 현지보고식으로 간결하고 생동감 있게 그려냄으로써, 전쟁의 현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치가 있다. 김사량이 쓴 종군기들은 인민군 전사들의 당과 수령님, 조국과 인민들에 대한 불같은 충성심과 헌신성, 용감성, 영웅주의, 그리고 숭고한 애국심을 진실하게 반영한다. 이는 작가 김사량의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신념과 조국통일에 대한 염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김사량의 보고문학이 중국에서 출판된 이유는 중국의 국정과 북한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