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신북방 정책을 활용한 여수 광양항의 역할제고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Enhancing Role and Activating Plan for Yeosu Gwangyang Port Using the New Northern Policy

상세내역
저자 서문성
소속 및 직함 금강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물류학회
학술지 물류학회지
권호사항 29(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95-112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신북방정책   #여수⋅광양항   #일일로정책   #역할제고   #활성화 방안   #시설현   #서문성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최근 남북 간 화 재개를 계기로 남북경협 재개에 한 기감이 제기 되었고, 현 정부는 유라시아 진출교두보를 통하여 한국 경제의 신 성장 동력을 확보하며, 나아가 한반도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신 북방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국 제정세는 인터넷 시를 실감케 할 만큼 전광석화로 변하고 있으며, 최근 미국의 트럼프의 정책 추진은 불확실성의 시를 예고하 고 있으나, 아베의 신륙정책, 시진핑의 일일로, 푸틴의 신동방정책의 접점을 잘 활용하여 한반도의 평화와 신경제 성장을 도 모할 필요가 있다. 동북아시아는 갈등과 경쟁체제 속에서 많은 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현재 우리나라의 산 업과 기업환경은 많은 어려움이 예견 되고 있으며, 특히, 해운⋅항만의 어려움이 가증되고 잇는 실정이다. 미래의 여수⋅광양항을 위해서는 현재의 정체성을 탈피하고 향후 100년 후의 성장 항만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유기적인 화합과 집중력을 살리고 지속 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신 북방 정책의 본질은 북한을 경유하여 륙과 연계되는 길을 닦는 것이며, 다양한 부문에서 신 북방 정책에 해서 논의 가 능하고 기본적으로 북한의 개혁과 개방을 견인하는 정책수단이자 륙진출의 경제공간을 확보 하는 것이며, 물리적으로 상호 연 결 될 수 있는 교통로의 확보가 과제일 것이다. 현재의 차단되고 단절된 북방지역과의 연계네트워크 구축을 먼저 하여야 향후 인 적⋅물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북방지역과의 협력도 이루어질 것이다. 인적교류와 상품의 공간적 위치를 아무런 장애 없이 자유롭게 안전하게 이동 시킬 수 있어야 하며, 비용이 저렴하며, 효율적인 교통시스템이 구축되어야만 가능할 것이며, 북한과의 연계에만 그칠 것 이아나라 향후 동아시아 시장 확보와 교류를 위해서는 러 시아 극동, 중국동북3성, 몽골 등과도 원활한 교역체계를 구축하고, 앞으로 다양한 교통수단들과 효율적으로 연계되어야한다. 도로⋅철도 등 육상 교통로의 연결 외에 해운⋅항공 운송 부문까지도 연결되고 규모 물자 수송을 위해서는 북한의 낙후된 항만과 해운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성장정체기에 있는 여수⋅광양항은 항만 인프라 확충과 시설현화(리뉴얼)에 꾸준한 노력을 하고 있는데, 이는 항만의 발전과 성장을 위해서는 지속성을 가지고 조속히 진행되어져야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