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 김정은 시대의 고급중학교 1 화학 교과서의 탐구 경향성 분석

Analysis of the Inquiry Tendency of the Higher-level Middle School 1 Chemistry Textbooks of Kim Jong-Un Era in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박현주, 권지윤
소속 및 직함 조선대학교
발행기관 대한화학회
학술지 대한화학회지
권호사항 63(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66-279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화학 교과서   #탐구적 경향   #Romey의 분석법   #고급중학교   #북한 김정은 시대   #박현주   #권지윤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 김정은 시대의 화학 교과서의 탐구 경향성을 Romey의 분석법에 따라 조사하였다. Romeny의 분석법에 따라 북한 화학 교과서를 문장, 시각자료, 절과 장의 질문, 토론 및 실험 활동, 요약 등으로 구분하여 탐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그 리고 그 결과를 남한 3차 교육과정부터 2009 교육과정의 화학 또는 과학 교과서의 탐구 경향을 Romey 분석법으로 분석한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북한 고급중학교 1 화학 교과서는 5개 장의 20,017개 문장, 541개 시각자료, 140개 질문, 243개 활동, 25 개 요약으로 구성된다. 이것들을 대상으로 Romey의 탐구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북한 화학 교과서의 문장은 권위주의적, 시각 자료는 탐구주의적, 절과 장의 마무리 질문은 지나친 탐구주의적, 활동은 탐구주의적, 장 요약은 극단적인 권위주의적 경향을 나 타내는 것을 조사되었다. 북한 화학 교과서는 남한의 6차 교육과정에 따른 화학Ⅰ 교과서들과 유사한 탐구 경향성을 보이는 것 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북한 과학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탐구적 교수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