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본 김정은 시대 북한 소학교 『사회주의도덕』의 변화와 지속

A Study on the 『Socialist Moral』 Analysis of North Korea's Primary School: In Terms of Change and Continuation

상세내역
저자 오기성
소속 및 직함 경인교육대학교
발행기관 교육연구소
학술지 교육문화연구
권호사항 25(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23-646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사회주의도덕   #사회주의 사상 교양   #수령에 대한 충실성   #긍정감화   #사회주의도덕교수안   #오기성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김정은 시대 북한의 초등학교 『사회주의도덕』 교육의 변화와 지속의 양상을 사회통합의 관점에서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한 사회주의 도덕교육의 교육론적 배경을 토대로 교과용 도서인 소학교 1-3학년『사회주의도덕』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에 해당하는 『사회주의도덕교수안」(1학년)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교과로서 북한의 『사회주의도덕』이 갖는 가장 큰 특징으로는 첫째, 사회주의 교양으로서 사상성'과 사회주의 도덕이라는‘교과 지식'을 병행 신장시키고자 한다는 점이다. 둘째, 북한의 사회주의도덕 교과서는 과거와는 달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학습 차원에서 토론, 질의응답, 소집단학습, 멀티미디어 학습 등 탐구형 교과서를 지향하고 있다. 셋째, 이러한 변화에도불구하고 반제국주의 관련 내용은 이전과 같이 지속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넷째, 교과서 기술 방식으로서 긍정감화형접근 또한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다섯째, 북한의 교과서를 뒷바침하는 지도서로서 사회주의 도덕교수안에서제시하는 참고자료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의 저작에 국한되고 있다는 점이다. 반면,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볼 때, 북한의 사회주의 도덕이 남북 모두 공통적인 가치덕목을 다루고 있다는 점, 한국 전통 우화 등 남북이 공유할 수있는 내용이 있다는 점, 학습자 주도의 탐구형 교과서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