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평창동계올림픽에 관한 언론보도의 의미연결망 분석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Media Broadcasting Related with PyeongChang Winter Olympic

상세내역
저자 김경식
소속 및 직함 호서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융합과학회
학술지 한국융합과학회지
권호사항 8(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99-113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평창동계올림픽   #언론보도   #의미연결망   #프레임   #김경식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시기별 평창동계올림픽 보도경향을 비교, 분석하고, 동시출현 주제어와 하위집단 분석을 통하여 보도 프레임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전(2018. 1. 23 – 2. 8), 개최중(2018. 2. 9 – 2. 25), 개최후(2018. 2. 26 – 3. 14)간 전국종합일간신문에 보도된 평창동계올림픽 관련 신문기사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개최전에는 8,243건, 개최중에는 13,763건, 그리고 개최후에는 3,446건의 기사가 활용되었다. 자료분석은 NetMiner와 UCINET을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결론 : 첫째, 평창동계올림픽에 관한 시기별 언론보도의 상위권 주제어는 미미하게 변화하였다. 즉,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전에는 PyeongChang, Olympic, PyeongChang Winter Olympic, President, South Korea, North Korea 등, 개최중에는 PyeongChang, PyeongChang Winter Olympic, Olympic, President, South Korea, Curling 등, 그리고 개최후에는 PyeongChang, Paralympics, South Korea, Olympic, Young Mi, PyeongChang Winter Olympic 등의 순으로 중요하게 보도되었다. 둘째, 평창동계올림픽에 관한 언론보도에서 중요하게 다룬 동시출현단어쌍은 PyeongChang Winter Olympic-President, North Korea-President, North Korea-Mike Pence, President-Blue House, PyeongChnag-Athlete 등의 순으로 등장하였다.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전, 중, 후동안에는 PyeongChang, President, Paralympics, North Korea, Olympic, South Korea, Young Mi 등의 주제어가 중요하게 다뤄졌다. 또한 구조적 등위성에서는 평창동계올림픽, 북한 대표단 개회식 참석, 컬링팀 영미~!와 스피드스케이팅 팀추월 김보름, 노선영 괴롭힘 왕따 공방,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의 올림픽 관전과 한국선수의 응원, 북한, 미국 프레임으로 보도되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