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북한지명을 우리 고유의 지명으로 복원하고자 구한말·일제강점기의 과거 지명과 북한이 편찬한 지명 사전의 최근 지명을 비교·분석하였다. 북한지명을 구한말 지명으로 복원할 때, 일제강점기 지도에 많은 지명이 포함되어 있어 비교가 용이하지만, 일본식 지명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이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최근 북한지명을 일제강점기 지명과 연계하고 이를 다시 구한말 지명과 연계하는 단계적 복원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황해도 최근 지명 4,823개에 대해1,711개가 구한말 지명으로 복원될 수 있고 구한말 지명이 누락된 지역은 일제강점기 지명을 과거 지명으로 보아 566개를복원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황해도 지명 중 2.277개, 약 47.21%가 구한말 지명으로의 복원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통일대비 북한 고유지명 복원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의 활용과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