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서해안권은 동남아시아, 태평양, 중국의 동북3성, 러시아 등 글로벌공급사슬관리를 연결하는 중요한 지리적 위치에 있다. 북한은 서해안경제특구를 활용하여 경제발전을 진행하며 항만물류 영역에서 남북 협력 사업은 남북한과 중국동북 3성 및 러시아 등 유라시아 연계된 국제 복합물류망 구축이 목표이다. 북한의 서해안 항만개발은 남북한 항만공동개발 및 공동운영이 필요하며 중요한 전략적 요소가 된다. 본 연구는 북한 항만의 선택적 정책대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측정영역과 측정요소를 설계하고 분석방법은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분석 결과는 항만공사 등의 민간차원에서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요구되며. 제2계층의 평가속성은 해운·항만 기반 구축이 0.296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북한 항만 선택 세부 평가요소의 종합중요도는 정부의 관련기관이 참여하는 형태의 거버넌스 구축이 0.073이다. 본 연구에서 북한 서해안의 최종적으로 항만개발선택은 신의주특구로 0.345을 보여주고 있다. 신의주 특구는 북한 외에 중국 단동과 연계성이 매우 높으며 제도적 측면에서 안정적인 법적 장치의 운용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