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 국어교육의 외연적 맥락과 내포적 의미의 탐색 —중국 어문교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Denotational Context and the Connotational Meaning of No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comparisons with chinese language education

상세내역
저자 최홍원
소속 및 직함 상명대학교
발행기관 국어교육학회
학술지 국어교육학연구
권호사항 54(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15-362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북한 국어교육   #중국 어문교육   #관점과 체계   #교과서   #교수·학습   #교육과정   #최홍원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북한 국어교육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가 교육과정, 교과서를 통해 현상적 차이를 드러내거나 통합의 방안을 제시하는 일정한 경향성을 반복, 답습하고 있다는 반성에서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중국 어문교육과의 비교를 통해 북한 국어교육의 외연적 맥락과 내포적 의미를 입체적으로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북한 교육의 변화를 고려하건대 북한이 중국 어문교육을 중요하게 참조했으리라는 추정 속에서, 북한 국어교육의 주요 특질을 중국 어문교육과 비교하여 살폈다. 먼저, 관점과 체계의 국면에서는 언어에 대한 수단적 인식을 통해 정치성뿐만 아니라 타교과의 학습과 다양한 지식의 습득에 주목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문학이 타영역과 통합적으로 구성, 설계되는 체계의 맥락과 의미도 탐색하였다. 교과서 수록 제재의 국면에서는 교육과정 문서에 교과서 수록 제재와 구체적인 기준을 명시하여 직접적으로 통제하고 개입하는 특질을 살폈다. 세계문학 제재가 강조되는 공통된 모습도 발견하였다. 끝으로 교수·학습의 국면에서는 성취수준과 학습 범위를 교육과정상에 구체적인 수치로 제시하는 특질을 살폈고, 정규 수업 이외의 과외 활동을 강조하는 맥락과 의미도 분석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