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공산주의도덕’과 ‘사회주의도덕’에 대한 비교를 통해 북한의 도덕교육 변화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첫째, 1990년대 북한 사회의 경제적 어려움, 외부 정보의 유입, 청소년의 비사회주의현상의 증가에 따른 김정일의 교시에 따라 사회주의 도덕이 등장하였다고 보았다. 둘째, 북한은 철학적․사회과학적 관점에서 사회주의사회를 인류 사회의 최고의 발전단계로 규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사회주의도덕을 최고의 도덕으로 규정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사회주의도덕교과서(2013)는 긍정감화형, 모범제시형을 유지하면서도, 여러 측면에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