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한반도 북방지역 적응 벼 품종선발을 위한 출수생태 반응

Analysis of Heading Response for Selection of Rice Varieties Adaptable to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상세내역
저자 황흥구, 문헌팔, 조수연, 구홍광, 정응기
소속 및 직함 북방농업연구소
발행기관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학술지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권호사항 31(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33-239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Coefficient of variation   #Day to heading   #Local adaptability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Rice   #황흥구   #문헌팔   #조수연   #구홍광   #정응기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북부지역과 중국의 북한 인접지역에서 동일 품종을 재배하여 다양한 기후조건에서도 출수일수 변이계수가 안정적이고 조숙성인 품종을 선정하여 북한 적응성이 높은 품종선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된 연구결과이다. 2. 북한 접경 국내외 6개소에서 출수일수별로 극조생종, 조생종, 준조생종, 중생종의 4개 출수생태형으로 분류하였다. 국내에서는 극조생종에는 9품종, 조생종은 42품종, 준조생종은17품종, 중생종은 4품종으로 분류되었고 중국에서는 극조생종7품종, 조생종 27품종, 준조생종 32, 중생종 9품종으로 구분되었다. 3. ‘수원’ 등 국내 3개소에서 출수기의 변이계수는 4.8~ 18.5%이었고 변이계수가 6.0 이하인 품종은 태봉, 내풍, 화동, 운장, 인월, 진봉, 운봉, 금영, 삼천 등 이었다. 4. ‘단동’ 등 중국 3개소에서 출수기의 변이계수는 국내보다낮은 0.5~8.1%로 변이계수가 2.0 이하인 품종은 태성, 진부찰, 중모1001, 오봉, 새상주, 중모1011, 삼천, 남원, 길주1호(북한수집) 등 이었다. 5. 한국과 중국의 6개소에서 출수기 변이계수는 8.7~13.3% 의 범위를 보였고, 변이계수가 9.0% 이하로 낮은 품종은 국내육성 품종 둔내, 운봉, 화동, 진부찰, 설레미 품종으로 북한의벼 재배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비품중으로 북한 대비품종인 원산69호, 중국 대비품종인 길주1호 등도변이계수가 안정적인 품종이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