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2015 개정 도덕과와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통일교육과 관련된 단어의 연결 구조를 파악하고, 우리나라 통일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도덕과, 사회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중 통일교육과 관련있는 성취기준을 선별, 한글 기반 의미분석 소프트웨어인 KrKwic을 활용하여 단어(도덕과 26개, 사회과 34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단어를 중심으로 UCINET 프로그램의 NetDraw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단어 상호간의 의미연결망 구조와 중앙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덕과는 ‘통일’이라는 단어가 압도적으로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고, 연결망 구조에서도 중심에 위치하며, 연결중앙성, 위세중앙성, 사이중앙성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과는 ‘북한’, ‘남북한’, ‘세계’, ‘파악하다’, ‘살펴보다’와 같은 단어의 출현빈도가 높고, 연결망 구조에서 다른 단어 간 강한 연결강도를 보이며, 연결중앙성, 위세중앙성, 사이중앙성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도덕과는 통일교육에서 정의적 측면과 개인-국가적 차원이, 사회과는 인지적 측면과 국가-세계적 차원이 강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존 통일교육과 관련된 최근 논의들을 반영하여 통일교육의 방향으로 종합적 역량 고양과 평화적, 다문화적 가치 관점으로의 변화를 제안하였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