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탈북민의 남한 정착과정에서 행복의 의미와 통일교육의 과제

Meaning of Happiness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상세내역
저자 김종두, 조광주
소속 및 직함 서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지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권호사항 13(7)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19-430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통일교육   #북한이탈주민   #성인교육   #면담   #이데올로기   #김종두   #조광주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남한에서 탈북민으로 살아가는 대학생과 성인여성들에 대한 면담을 통하여 실질적인 사회생활에서의 적응과정을 알아보고, 우리 모두의 삶이행복하기 위해서는 교육측면에서 어떻게 나아가는것이 바람직한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반구조화된 면담으로 이루어졌다. 면담기간은 4 개월이었다. 면담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에서 갈등보다는 협력강화, 같은 민족이라는 동질성 회복을 위한 방향설정을확고히 할 필요가 있다. 6.25동란과 같은 동족상잔의전쟁으로 인해 갈등의 골이 깊어진 상황에서 쉽지않은 현실적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65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국가가 과거에만 머물수는 없다. 둘째, 탈북민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인식도 성인들에게서 일부 존재한다는 점이다. 셋째, 남한 사람들의 통일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는 통일비용에 대한 증가로 인해 사회복지와 경제성장의 기반이 약회된다는 주장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학교교육에서 지식중심의 교육과 함께 문화예술과 같은 실생활에서 살아가는 내용도 동일 비중으로 다루어야 한다. 이를 통해 탈북자들도 남한국민들과 동일한 행복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이 이루어져야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