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김정은 체제 등장 후 북한의 군부 인사권력 구조변화가 시사하는 바는 무엇이고, 권력 구도 변화에 따른 군 인사 변화와의 연관성과 군부의 권력약화 현상을 분석함으로써 북한이 종전선언과 체제보장을 목적으로 한 비핵화가 본질적인 변화인지를 확인하여 한국의 효과적인 대응방안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북한의 군부 엘리트 변화에 대한 선행연구 자료들과 북한 사회주의 헌법 수정내용, 기타 정보기관들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들을 참고하고 북한의 국제협상 차원에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김정은 체제 들어서면서 현상적으로는 군부 축소와 당 중심의 정상국가의 모습을 보여주려 하고 있다. 하지만 김정은은 국제사회에 북한이 핵보유국임을 천명하고 핵을 이용한 국제협상과 정권보장, 대북제재 완화의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결국, 김정은이 체제 생존을 위한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는다면, 북한의 군부 인사권력 구조변화를 통한 정상국가의 모습은 현상적인 모습이고 위장술책에 불과하다. 북미회담 성사 여부와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가기 위해서 군부를 동원한 미사일 발사실험 등 위협과 압박을 강행하는 것은 북한의 군부체제가 아직 견고하다는 것이고 향후 대북정책 기조와 협상은 북한의 본질적인 의도에 맞추어 진행되어야 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