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중국 대학교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향 : 4년제 본과 교육을 중심으로

The Movements and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y :With an emphasis on undergraduate education

상세내역
저자 楊萍, 韓存瓕, 김진식
소속 및 직함 청도이공대학교
발행기관 교육연구소
학술지 교육문화연구
권호사항 25(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967-989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중국   #한국어 교육   #현황   #문제점   #개선 방향   #楊萍   #韓存瓕   #김진식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고는 한국어 교육 현황을 정리하면서 존재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런 문제점들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에목적을 두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수교 전의 조선어 교육 시기와 수교 후의 한국어 교육 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때한ㆍ중수교를 계기로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2008년에는 세계경제 불황 및 사드 배치로 인한 영향도 있었지만 한국어교육 자체가 안고 있는 시스템적인 문제는 맹목적 증설로 인한 것이 그 바탕에 깔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일부대학은 폐과되었고 나머지도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즉 2008년부터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은 전환기를맞이하였다. 그러나 외국어 교육은 국내 정책 및 국제 정세의 영향을 많이 받는 바, 대내적으로 고등교육 개혁과일대일로(One Belt One Road), 대외적으로 북한의 경제 개혁개방 결심, 한반도 비핵화 등 양호한 국제 정세가 한국어교육의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위기는 잘 활용하면 도약의 계기가 될 수 있다. 현재 취업률이 낮아 지원율도 낮은 한국어 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위해서는 대동소이한 교과과정의 문제, 교수진의 직함 문제, 졸업생의 취업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나아가 더 중요한문제가 바로 대학 구조조정이며, 한국어교육의 지역화 특색 교육 구축, 고차원적인 교육 구축, 그리고 융합과 특색을추구하는 ‘신문과’ 교육 구축이 시급하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