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한국어 교육 현황을 정리하면서 존재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런 문제점들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에목적을 두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수교 전의 조선어 교육 시기와 수교 후의 한국어 교육 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때한ㆍ중수교를 계기로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2008년에는 세계경제 불황 및 사드 배치로 인한 영향도 있었지만 한국어교육 자체가 안고 있는 시스템적인 문제는 맹목적 증설로 인한 것이 그 바탕에 깔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일부대학은 폐과되었고 나머지도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즉 2008년부터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은 전환기를맞이하였다. 그러나 외국어 교육은 국내 정책 및 국제 정세의 영향을 많이 받는 바, 대내적으로 고등교육 개혁과일대일로(One Belt One Road), 대외적으로 북한의 경제 개혁개방 결심, 한반도 비핵화 등 양호한 국제 정세가 한국어교육의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위기는 잘 활용하면 도약의 계기가 될 수 있다. 현재 취업률이 낮아 지원율도 낮은 한국어 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위해서는 대동소이한 교과과정의 문제, 교수진의 직함 문제, 졸업생의 취업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나아가 더 중요한문제가 바로 대학 구조조정이며, 한국어교육의 지역화 특색 교육 구축, 고차원적인 교육 구축, 그리고 융합과 특색을추구하는 ‘신문과’ 교육 구축이 시급하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