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남북한의 외래어 통합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남한과 다른 북한 외래어 중 일상어를 대상으로 외래어 차이의 유형을 표기법으로 인한 차이, 유입 경로에 따른 차이, 말다듬기로 인한 차이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남북의 외래어 차이는 일상어 수준에서는 소통에 무리가 없는 수준이라고 보았다. 이에 따라 남북 외래어의 통합은 단일 형태로의 통일보다는 다양성을 늘리는 방향이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서는 역사적 맥락까지를 고려하여 남북 간의 외래어 대응어를 풍부하고 정교하게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체재 통합 시를 대비해서는 외래어를 표준화할 공통의 표기 규범도 필요하다고 보았다. 공통 규범 마련을 위해서는 남한 외래어 표기법에서 문제로 제기되는 조항을 우선적 논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