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기본주장은 '북한의 핵 전력화 상황이 한반도 평화체제론의 재등장을 가져왔으며 한국의 안보전략적 대응의 선택지를 확장시켰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지의 해명을 위해서 최근의 한반도 평화체제론의 재등장의 배경을 한반도 내외적 측면의 고찰을 통해서 살펴보고 있다. 특히, 이 논의에 있어서 최근의 논의가 과거의 한반도 평화체제론과 어떠한 차별성을 갖는지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서 한반도 평화체제론의 실행조건과 관련한 촉진요인과 억제요인을 검토하여 그 것의 현실화 가능성에 대한 일정한 시사점ㅇ르 도출하고자 한다. 향후 한반도 평화체제론의 전망과 관련하여 그 주요 결정변수로서 북핵문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시나리오적 접근을 통해서 그 실행 가능성 및 실행전략과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 글의 의의는 '북한의 핵 전력화 상황의 도래는 역설적이게도 새로운 차원의 한반도 평화체체제의 논의의 장을 열도록 했으며, 한국으로 하여금 그로 가기 위해서는 그에 따라는 새로운 안보전략적 선택의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주장하는 것에 있다 하겠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