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 지역 적응 옥수수 품종 선발을 위한 출사 및 생육 생태 연구

Survey of Silking and Growth – Ecology for Selection of Adaptable Lines to North Korea in Maize

상세내역
저자 박희운, 오명근, 문헌팔, 이성록, 배환희
소속 및 직함 북방농업연구소
발행기관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학술지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권호사항 31(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52-358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maize   #accumulated temperature   #northern part of Korea   #growing days   #maturity group   #silk stage   #박희운   #오명근   #문헌팔   #이성록   #배환희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반도 북부 지역에 적응하는 옥수수 품종 개발의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2017~2018년 중국 요녕성 동항과 연변주 용정에서 18 품종/교잡계를 파종기, 재식거리 및 시비량 등 관행에따라 재배하여 출사기 성숙기 반응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1. 지역 간의 출사까지의 적산온도 차이가 출사일수의 변이보다 적으며, 출사일수 차이가 10일 이상인 품종/교잡계는 다청옥, 강다옥, 14GS19/14GS11이었다. 출사일수의 연차변이가적은 반면 출사까지 적산온도가 큰 경향을 보였다. 2. 동항이나 용정의 적산온도는 북한의 옥수수 숙기 분류기준에 중간늦종 범위를 벗어나는 늦종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용정에서는 북한 성수군 기준의 늦종 재배 가능하며, 동항은 북한의 수풍, 회천, 신포, 양덕, 평강을 잇는 지역에 해당 한다. 3. 평균 수량이 10a 당 1,000 kg 이상인 품종은 신황옥(1,076 kg), 황다옥(1,023 kg), 그리고 중국 비교품종 Xianyu335, Fulai818도 각각 1,013 kg과 1,038 kg이었다. 18개 품종/교잡계의 대부분이 중간늦종~늦종 군에 분류되었다. 18개 품종/교잡계의 대부분이 중간늦종~~늦종 군에 분류되었다. 4. 북한의 각 지역별 재배 가능한 성숙군은, 중산지 혜산은중간종, 북부 선봉은 중간종~중간늦종, 북부 산간인 중강과 동해안 북부 청진지방은 중간늦종~늦종 재배가능지이며, 그 외지역은 모두 3,000oC 이상으로 늦종 재배에 충분한 적산온도를 보였다. 북부산간 고지대인 삼지연, 풍산, 장진은 적산온도2,000oC 이하 지역으로 옥수수 재배가 어려운 지역으로 나타났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