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2010년대 간첩영화로 본 분단의 형상화 연구 –영화 <강철비>와 <공작>은 어떻게 ‘北’을 타자화하는가?–

A Study on the Shape of the Divisions in 2010s as a Spy Movie

상세내역
저자 전지은
소속 및 직함 한양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언어문화학회
학술지 한국언어문화
권호사항 (70)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9-86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간첩영화   #간첩   #타자화   #2010년대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웅물   #<강철비>   #<공작>   #내셔널리즘   #주체성   #대중성   #전지은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에서 가장 반복적으로 재현되는 소재는 단연 ‘간첩’이 다. 2010년대를 기점으로 ‘분단영화’의 다른 이름은 ‘간첩영화’가 되었고, 이제 간 첩은 한국형 영웅기표가 되어 하나의 상징성을 획득했다. 이미 한국이라는 국가적 정체성은 ‘분단’이라는 상황을 전제하여 성립한 것이며, 냉전과 신자유주의 시대 이후에 태어나고 성장한 세대라 할지라도 이러한 민족적 상황에서 자유롭지 못하 다. 본 연구는 2010년을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반복적으로 재현되는 ‘간첩’의 양상 을 분석하면서 우리가 어떻게 ‘북한’을 타자화하며, 동시에 ‘남한’을 구성해 가는 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2017년와 2018년에 각각 개봉한 <강철비>와 <공작>은 대중적 호응과 소 통에 성공했다는 공통점 외에도 ‘핵 문제’의 시작과 종결이라는 시대적 연결고리 를 가지며 극적인 서사맥락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인상적이다. 또한 두 영화는 ‘간 첩’과 ‘북한 요원’의 무게감만큼이나 ‘북’을 대하는 ‘남한’과 ‘남한 요원’의 모습을 대등하게 다루고 있기 때문에 경계와 배제, 그리고 타자화의 과정을 살펴보는 데 적합하다. 영화는 관객으로 하여금 심리적 봉합을 유발한다. 물론 이 봉합작용은 불완전하고 결핍된 것들을 매듭지어 완전한 것처럼 오인하도록 한다. 관객은 ‘선 밖’에 있는 간첩이라는 ‘타자’를 생산하고 반복하고 재생하고 구현하는 과정을 통해 ‘선 안쪽’에 있는 ‘남한’과 ‘우리’의 모습을 조직해나가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이 지점 에서 왜 아직도 ‘간첩 이야기’인지 해석할 수 있으며, 동시에 앞으로 어떻게 ‘간첩 이야기’를 해 나갈지에 대한 가늠이 가능하다. ‘간첩영화’의 반복이 누구의 의도인 가 하는 점은 불분명하며, 그 불분명함 때문에 본 연구의 시도는 더욱 큰 가치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일시적이고 환상적인 봉합이라 하더라도 수없이 반복된다면, 그것이 이미 하나의 ‘실재’일수도 있기 때문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