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가장 먼저 핵 전력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핵을 통한 안전보장과 핵 억지를 통한 국제관계의 독점적 영향력 확보를 실천해 옮겨왔다. 냉전시기 미·소간 핵억지 전략의 핵심은 핵 보복 능력을 확보한 ‘공포의 균형(balance of terror)’으로 상호 핵무기 사용을 자제하게 하고 억제하도록 하였다. 탈 냉전기에 미국의 핵억지 전략은 소련 이외의 위협으로부터 미국과 우방국을 보호하는 전략으로 바뀌었다. 9.11테러 이후 미국은 러시아 이외에 중국, 북한, 이라크 등 미국이 현상타파국으로 인식한 국가로부터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비하고자 하였다. 미국은 보복 능력의 향상에 초점을 두면서 핵을 사용한 선제공격의 옵션까지 고려한 핵 억지력을 강화해오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의 핵 위협에 따른 핵 공포로 인해 주변국들이 핵무기를 보유하고자 하는 충동을 없애야 하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이 논문의 목적은 미국의 국가안보 전략으로서 핵 억지가 어떻게 시작되었으며 어떤 양태로 트럼프 행정부까지 지속하였는지에 대해 역사적인 맥락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이런 목적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핵 억지이론의 기본 개념과 원칙, 역사적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둘째, 냉전이 종식되고 경제적인 상호의존이 심화하고 있는 국제체제 환경 하에서도 미국의 핵 억지 전략이 파기되지 않고 지속되는 이유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의 국가안보전략으로서의 핵억지의 유용성과 함께 각 행정부 시기별로 어떻게 억지 전략이 유지·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억지 전략이 북한과의 관련성 속에서 탐색할 수 있는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분석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