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정치군사적 신뢰수준이 전제되지 않는 한 대북한 경제제재는 바로 해제 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로 인해 남북 간 경제교류도 현재 교착상태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 간 경제교류는 북한의 개방과 미래 남북통일을 위한 필수적 사전 준비과정이란 관점에서 즉 정치 외교적 논리와는 별개로 사전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향후 북미정상회담의 결과에 따라 대북경제제재는 중단되거나 단계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남북 경제교류는 대북조치의 해제수준에 따라 선제적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북경제제재 해제조치와 그 수준에 따라 단계별 및 전략적 경제교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전 단계별 경제교류방안은 기존의 남북 경제교류선행연구와는 다른 차별화된 연구 내용이다. 특히 본 연구는 독일 통일로 부터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 정치경제 및 사회적 문제들을 파악하고 이를 교훈삼아 남북 간 경제교류방안을 기획하였다. 동시에 남북경제교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투자 및 지속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들 즉 국제사회와 조직의 협력을 통한 남북경제교류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남북교류의 기본 방향과 전략은 단순이 북한의 노동력과 자원만을 이용하기 위한 경제적 시각에서 탈피하여 북한의 경제적 발전과 편의성 제고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남북 경제교류를 위한 남북 경제교류자금의 확대와 활용방안 등과 대북경제교류를 위한 연구조직과 해외 남북교류를 위한 지원네트워크 등도 함께 제시하였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