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과 루마니아 간 비교연구의 의미: 배경, 가치 그리고 이에 따른 효과

The Meaning of Comparative Study between Romania and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곽동훈
소속 및 직함 바베쉬-볼여이 대학교
발행기관 동유럽발칸연구소
학술지 동유럽발칸연구
권호사항 42(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7-56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스탈린적 체제   #공산화과정   #정치문화   #정치사회화   #전체주의적 구조   #곽동훈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냉전체제의 붕괴는 탈공산주의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이론들을 소개하 였고, 나아가 이러한 접근방법을 통해, 시장경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부작용과 실체가 정형화될 수 있었다. 체제전환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한계를 분명히 인식한다면, 이를 토대로 향후 북한 체제전환의 가능성과 유 형을 보다 쉽게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소련을 비롯한 여러 동유럽 사회주 의 체제의 붕괴는 북한의 미래에 대하여 중요한 함의를 준다. 중요한 점은 국가별로 동일하지 않은 체제전환 과정을 경험하였다는 것이다. 각 사회주 의 국가들이 지녔던 특이한 성격과 보편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틀 로 크게 ‘역사적 요인’과 이데올로기적 패러다임이나 정치적 리더십과 같은 권력엘리트, 정치-문화적 접근 등이 포함된 ‘현대적 특징’을 고려할 수 있겠다. 이 두 가지 측면에서 비추어 볼 때, 루마니아 케이스는 북한체제 전환 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가치 있는 대안적 모델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루마니아와 북한은 비교사회주의 관점에서 빈 번하게 다루어져 왔으며, 현재의 시점에서 되돌아 볼 때, 그동안 많은 다양 한 연구물이 나왔다고 간주할 수 있다. 루마니아와 북한 간의 비교연구는 분명, 북한연구에 크게 기여를 하고 있다. 남북통일이 당위의 관점에서 가 능성과 필연성의 관점으로 전환되면서, 이러한 연구방향은 앞으로 더욱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시점에서, 루마니아와 북한 간 비교연구의 과학성과 타당성을 좀 더 확보하기 위해 이 두 국가가 적합한 비교대상인 지 입증해 보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조건과 이론이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두 국가 간의 비교연구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유익에 대해서 고찰해 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겠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