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핵개발 저지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논문에서 제시한 저지방안은 “맞대응전략을 사용하여 북한과의 협력을 통해 핵개발을 저지”하는 것이다. 이 주장은세 가지 논리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북한 핵개발 저지를 위해서는 맞대응전략이 유용하다. 오랜 기간 동안 적대적이었던 남과 북이 단기간에 신뢰를 쌓기는 어렵고, 실질적인 핵보유국인 북한이 강압에 순응하지도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북한이 북한의 이익을 위한 합리적판단을 통해 핵을 포기하도록 맞대응전략을 사용하여야 한다. 맞대응전략은 협력에는 협력으로, 배신에는 배신으로 대응하는 전략으로, 먼저 배신하지 않는 선량함, 배신을 응징하는보복성, 응징 후 용서하는 관대함과 일관성 있게 적용하는 명료함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맞대응전략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실효적 제재수단이 필요하다. 북한과의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던 개입정책, 군사, 경제적 강압에 의존하였던 강압정책, 북한의 핵사용에 대한군사적 억제방안 모두 핵실험에 대한 제재수단이 부재하였다. 맞대응전략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실효적 제재수단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셋째, 실효적 제재수단으로는 급변사태를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급변사태 활용은 국가 전략적 차원에서 기획되어 DIME요소를 통합적으로 운용하여야 한다. 급변사태 활용은 북한의 핵개발 저지를 위한 협력 유도 방안으로서 적합성, 한국이 독자적으로, 혹은 국제공조를 통해 목표에 달성할 수 있는 달성가능성, 규범이나 비용의 측면에서도 수용이 가능한 용납성을 갖춘 적절한 방안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