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안재홍의 ‘신민족주의’ 역사의식과 민족통일방안을재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이 추구해야 할 보다 적극적인 평화통일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첫째, 안재홍의 ‘신민족주의’는 다음과 같다. ①한민족은 오랫동안 동일한 언어와 역사 및 정치적 공통경험을 지닌운명공동체로서 문화적 민족주의의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②정치적 ․ 사상적 전통과 사회경제적 조건 및 국제정치적 형세로 보아 해방정국에서좌파계급혁명은 허용될 수 없다. ③대신, 한민족 구성원들은 일본제국주의에 의해 모두 속박 ․ 착취당하다가 다시 그 전체가 하나로 해방되었기때문에 ‘겨레’의 원리에 따라 먼저 국내단합을 성사시켜 통일국가를 수립하는 민족투쟁을 실천해야 한다. 그리고 평화통일을 민족사적 과제로 떠맡고 있는 대한민국은 명실상부한 민주주의의 보루로 발전하여 미국 등자유 우방국가들의 강력한 군사적 ․ 외교적 지원을 받아 소련 등 공산세력을 제압하는 전략으로 평화통일을 성취해야 한다. 둘째, 해방정국에서 안재홍의 ‘신민족주의’에 입각한 통일정부 수립은 실현되지 못했지만, 그의역사의식과 통일방안은 오늘의 북핵 위기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 특히그의 ‘신민족주의’는 대한민국의 헌법정신에도 부합하며 국제정치적 세력균형이나 군사안보 차원의 분석을 넘어 우리의 평화통일 논의를 열린 민족주의 시각에서 다시 조망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또 이는 군사적분쟁이나 전쟁으로 초래될 수 있는 분단의 영속(永屬)이나 민족의 공멸(共滅)을 사전에 방지하고, 남북한이 언제나 대화와 협상으로 평화통일을추구해야 한다는 당위를 정당화한다. 셋째, 앞으로 대한민국은 보다 적극적으로 ‘비폭력적’ 평화통일노선을 채택하고 다양한 비군사적 ․ 인도주의적 ․ 민족적 차원의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추진하면서 북한의 군사적 공산화통일노선의 비현실성을 끈질기게 설득해야 한다. 또한 대한민국은 한반도 평화통일이야말로 남북한은 물론 주변 국가들에게도 경제적, 안보적 이익을 제공하는 선결요인임을 반복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넷째, 대한민국은 비폭력적 평화통일노선의 하나로 장차 한반도 통일국가는 ‘아시아의 스위스’로서 시장경제와 자유무역주의를 존중하는 민주공화국으로서 군사적 비동맹국이 될 것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북한과 합의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비전은 남북한을 동북아평화 구축의 새로운 핵(核)이 되게 할 것이다. 다섯째, 이상과 같은비전과 전략의 비폭력적 평화통일노선은 현재의 북핵 위기가 전쟁으로비화되지 않게 하는 데 유리하고, 뜻하지 않게 전쟁과 같은 군사적 대결이 지속되거나 그것이 마무리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한반도 재분단이나 일본의 독도 기습점령과 같은 불행한 사태를 사전 차단하는 데에도 유리하다. 또한 이 비폭력적 비전과 전략은 현재의 북핵 위기가 북미간 혹은 다자간 평화협정 체결로 매듭지어진 이후에도 대한민국 정부가계속 붙잡고 추진해야 할 민족적 과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