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미국의 안보정책과 한국군의 국방력 발전방향: 군사적 역할을 중심으로

The US Defence Policy and A Development Plan of ROK Military Power : Focused on the Role of Military

상세내역
저자 김순태
소속 및 직함 공군본부
발행기관 국가안보전략연구원
학술지 국가안보와 전략
권호사항 18(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5-77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한미동맹   #군사전략   #공해전투   #합동전투개념   #상쇄전략   #접근거부능력   #김순태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미국은 2012년 초 ‘신 국방전략지침’ 발표를 시작으로 공해전투(Air- Sea Battle)와 합동전투개념(JAM-GC) 정립을 포함한 새로운 상쇄전략(Offset Strategy)에 이르기까지 군사전략에 대한 변화를 트럼프행정부에서도 시도하고 있다. 한반도는 북한과의 특수한 안보상황에 놓여 있고, 강대국들에 둘러싸인지정학적 위치 등으로 미국과의 군사동맹인 한미동맹만이 현실적 선택임을감안하면 미국의 군사전략 변화에 따른 대비는 불가피하다고 볼 수 있으며, 미국의 군사전략 변화로 파생되는 미국의 안보정책 변화뿐만 아니라, 주변국의 안보정책 변화에도 대응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군사력 확대방안이 필요하다. 첫째, 최첨단 핵심전력 관련 사업들은 정상추진하고, 더 나아가 북핵위기 등 현 안보상황에 필요한 무기체계는 조기 확보도 검토되어야 한다.둘째,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전략적 목표를 공격할 수 있는 능력 확보가 필요하다. 셋째,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해양안보를 지키기 위한 해군력 증강이필요하다. 넷째, 유사시 주변 강대국들의 최첨단 무기체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고 강력히 대응할 수 있는 항공우주전력 구축이 필요하다. 다섯째, 현존 위협뿐만 아니라, 가까운 미래의 분쟁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해병대 및 육군 특수전 수행 능력 강화와조직 확대가 필요하다. 정책적 함의로서 첫째, 방위비 분담 비용 문제와 확장억제 보장 등 한미동맹 신뢰성 확보를 위한 동맹관리가 중요하다. 둘째, 전작권 전환 대비한다는 차원에서 현재의 연합사와 같은 시스템은 지속 유지되어야 한다. 셋째, 현재 추진중인 획득 개발 전력 등 한국의 안보상황에 맞는 자주국방력 확보를 위한 한국형 군사전략 변화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목차